로스팅에대해서2 08. 로스팅 특성과 방법, 블렌딩 NCS 바리스타 1급 자격증 필기 여덟 번째. 로스팅 과정 흡열 반응 & 발열반응 건조(수분이 증발), 열분해(향미 발현 물질 생성, 캐러멜화), 냉각 크랙 로스팅 과정에서 두 번의 파열음이 들리는데 이를 크랙이라고 하며, 팝(Pop)이나 파핍(Poping)이라고도 한다. ㆍ1차 크랙: 콩 내부에 있는 수분이 열과 압력에 의해 기화하면서 발생한다. ㆍ2차 크랙: 가스의 압력과 결합하여 목질 조직의 파괴가 일어나 발생한다. [ 로스팅의 물리적 변화 과정 ] 상태 1차 크랙 2차 크랙 반응 흡열 발열 색깔 녹색 (160ºC) 노란색 계피색 옅은 갈색 갈색 짙은 갈색 검은색 맛 로스팅이 진행될수록 신맛은 감소, 쓴맛은 증가 형태 생두 수축 팽창 팽창 멈춤 중량 감소 12-14% 15-17% 18-25% *16.. 2023. 2. 10. 커피 로스팅에 대해서 우리나라도 커피가 많이 대중화되면서, 커피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거나 원두를 사다가 집에서 직접 내려 먹는 소비자들이 많아진 만큼, 커피 종류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이 높아졌다. 블렌딩 커피가 아닌 단일 커피에 대한 관심과 소비 욕구도 함께 증가한 것도 사실이다. 앞 포스팅에서도 설명했 듯, 여러 나라별 커피의 특징이 있었는데 원두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맛을 극대화시키려면 '로스팅'이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같은 원두라 할지라도 어느 강도로 로스팅하냐에 따라 원하는 맛과 향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커피 로스팅에 대해 설명하려 한다. 로스팅 방법 선택하기 [볶음도] 커피 볶기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볶음도(Roasting grade)이다. 볶기가 진행됨에 따라 커피의 향미 요소들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2023. 1. 30. 이전 1 다음